-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는 예년 수준이나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 존재 -
□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장기화가 장애인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등록장애인의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는 예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장애인 차별에 대하여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승했습니다.
- 또한 장애인 돌봄 지원 서비스 확대로 인해 장애인의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이용 경험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이 다소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 다만 코로나19로 인해 외출, 정서적 안정, 경제 활동,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 특히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소득감소 및 고용시장 위축으로 인해 장애인 자신의 가구를
저소득 가구로 인식하는 경향을 보이며, 소득보장 욕구가 증가한 반면, 고용보장 욕구는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 등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생활실태,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상태, 돌봄 특성 및 복지 욕구, 경제적 상태 등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는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1990년 1차 조사 이후 9번째 실시된 조사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을 통해 전국 등록장애인 7,025명에 대한 방문 면접조사로 실시되었습니다.
※ 실태조사 주요 연혁
○ 법적 근거: 장애인복지법 제31조
○ 추진 경과: 1990년 1차 조사 이후 매 5년 실시됐고, 2007년 법개정 이후 3년마다 실시하는 것으로 변경
* ’90년, ’95년, ’00년, ’05년, ’08년, ’11년, ’14년, ’17년, ’20년 등 총 9차례 실시
□ 2020년 장애인실태조사에서 나타난 장애인 주요실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애인구 및 일반사항
○ 우리나라의 등록 장애인은 262.3만 명(’20.5월 기준)으로 2017년에 비해 약 4.2만 명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장애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의 비율은 49.9%로 2017년(46.6%)에 비해 3.3%p 증가하여 고령화 경향을 보이며,
- 전체 장애인 가구 중 장애인 1인 가구 비율 역시 27.2%로 2017년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장애인의 교육 정도는 대학 이상 학력자가 14.4%로 2017년 15.2%에서 다소 감소하였는데 65세 미만의 대학 이상
학력자는 23.9%로 2017년(23.1%)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장애인의 결혼상태는 배우자가 있는 비율이 51.3%입니다.
○ 장애인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수급자 비율은 19.0%로 2017년의 15.0%에 비해 4.0%p 증가한 수준이며,
전체 인구의 수급율 3.6%(2019년 12월 기준)에 비해 약 5.3배 높습니다.
2. 건강 수준 및 의료이용 실태
□ 장애인 중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 14.0%로 전체 인구(32.4%)의 절반 이하로 낮고
우울감 경험과 생활에서의 스트레스 경험률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상태가 ‘좋음 또는 매우 좋음’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14.0%이며,
48.7%는 ‘나쁨 또는 매우 나쁨’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우울감 경험률은 18.2%이고, 자살생각률은 11.1%로 ‘17년(18.6%와 14.3%)에 비해 낮아졌으나
전체 인구의 10.5%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 만 19세 이상 장애인의 스트레스 인지율은 33.7%로 전체 인구의 28.6%에 비해 5.1%p 높은 수준입니다.
□ 장애인의 정기적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은 낮아지고 미충족 의료서비스 경험 비율은 높아져서,
코로나19 장기화 등 사회환경 변화로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의료 및 재활서비스 이용 전체 연령) 장애인의 76.3%가 최근 1년간 자신의 장애에 대한 치료, 재활, 건강관리를 포함하여
정기적·지속적 진료를 이용하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17년에 비해 6.0%p 감소한 수준입니다.
○ (미충족의료) 장애인의 32.4%가 최근 1년간 병의원에 가고 싶을 때 가지 못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2017년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최근 1년간 병의원에 가고 싶을 때 가지 못한 주된 이유는 ‘의료기관까지 이동 불편’, ‘경제적 이유’,
‘증상이 가벼워서’ 등으로 응답하였으며,
-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장애인의 외출빈도가 크게 감소한 점도 병의원 이용 경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 관련 조사 및 통계에서 2020년 전체 국민의 보건의료서비스 이용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환경을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음. 전체적으로 의료서비스 이용이 제한된 상황에서 장애인의 경우에도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이 감소하고 미충족 의료 경험은 높게 나타날 수 있음
·2020년 의료서비스 경험조사: 2020년(상반기)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은 59.1%로 2019년의 68.9%에서 9.8%p 감소 (보건복지부)
·2020년 상반기 진료비 주요통계: 명세서 건수 13.3% 감소, 내원일수 12.5% 감소(건강보험심사평가원)
3. 사회경제적 생활 실태
□ 장애인 차별에 대한 인식은 좋아졌다고 느끼는 반면「장애인차별금지법」의 인식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 장애인 차별에 대하여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36.5%로 2017년 20.1%, 2014년 27.4%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대해 ‘알고 있다’로 응답한 경우는 10.5%로 2017년 13.9%에서 감소하였습니다.
- 장애인 차별이 없다는 응답은 이전에 비해 높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므로 지속적인 차별 예방 노력이 필요하며,
-「장애인차별금지법」인지 비율은 다소 감소하였는데 연령별로는 장애노인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인지 비율이 다소 낮습니다.
□ 지난 1개월 간 장애인의 외출 빈도는 거의 매일 외출하는 경우가 45.4%로 2017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전혀 외출하지 않는 경우는 8.8%로 약 2배 정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주 1~3회 외출(32.9%)과 월 1~3회(12.9%)는 증가하여 장애인이 외출 빈도를 줄이거나,
외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보이며,
- 외출하지 않은 이유는 ‘장애로 인한 불편함’이 가장 큰 이유이며 ‘코로나19로 인해’, ‘하고 싶지 않아서’,
‘도우미 부재’ 등으로 응답하였습니다.
□ 교통수단 이용 시 장애인의 39.8%가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2017년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 교통수단 이용이 어려운 이유는 ‘버스·택시가 불편해서’(52.6%), ‘장애인 콜택시 등 전용교통수단 부족’(17.4%),
‘지하철 편의시설 부족’(12.1%)의 순으로 높으며,
- 다만, 버스·택시 불편, 장애인 전용 교통수단 부족, 지하철 편의시설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비율은
2014년, 2017년에 비해서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예년과 유사하였으나 여가생활 만족도는 낮아졌습니다.
○ 장애인의 생활만족도는 3.2*점으로 2017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나,
문화 및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2.9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생활영역에서는 ‘친구들 수’와 ‘하고 있는 일’의 만족도가 낮아져서 외출의 어려움 등 좁아진 사회관계와
고용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코로나19 장기화는 사회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장애인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로 인해 장애인이 경험한 가장 큰 어려움은 ‘외출’, ‘정서적 안정’, ‘경제활동’, ‘의료이용’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장애인의 주관적 경제적 계층 인식이 2017년에 비해 낮아졌습니다.
○ (주관적 경제적 계층 인식) 장애인가구의 주관적 경제적 계층 인식은 2017년에 비해 하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 경제상태를 상층 혹은 중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30.6%로 2017년에 비해 7.9%p 감소한 반면,
하층으로 인식하는 비율은 69.4%로 7.9%p 증가하였습니다.
○ 장애인 가구는 낮은 소득 수준과 식·주거 및 의료비 지출 비중이 높은 열악한 경제 구조로 보여집니다.
※ 장애인 가구 소득·지출 분석은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통계청)」자료사용
- 장애인 가구소득은 전국가구에 비해 낮고(전국가구의 71%수준) 소득분위 1~2분위에 59.8%가 분포하는 등
저소득가구 비중이 높으며,
- 장애인 가구의 소비지출은 의료비 비중이 11.6%(전국가구 6.7%)로 저소득일수록
생계·의료 지출 비중이 높은 열악한 구조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4. 장애인의 돌봄 특성 및 복지 욕구
□ 장애인의 32.1%가 일상생활에서 다른 사람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7년의 33.9%에 비해 다소 감소한 수준입니다.
이 중 ‘거의 모든 일에 다른 사람의 지원이 필요한’ 경우는 6.2%로 2017년(5.5%)에 비해 증가하였습니다.
○ 만65세 이상 장애노인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도움이 필요한 경우는 34.1%로 2017년에 비해 감소하였습니다.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주지원자는 가족구성원이 76.9%(2017년 81.9%)로 여전히 가족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공적 돌봄서비스 제공자인 경우도 18.7%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활동지원사, 요양보호사 등 공적 돌봄서비스 제공자가 주 지원자인 비율은 18.7%로
2017년 11.5%, 2014년의 11.1%에서 증가하였습니다.
- 장애인활동지원사업 확대, 발달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등 돌봄지원 서비스 확대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노인장기요양보험 등) 이용경험률은 13.5%로
2017년의 9.5%에 비해 4.0%p 증가하였습니다.
- 돌봄서비스 확대와 이용 경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의 충분도(현재 도움충분도)는
낮아진 경향을 보였는데 코로나19로 인한 돌봄공백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국가 및 사회에 대해 가장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사항은 ‘소득보장’ (48.9%), ‘의료보장’(27.9%), ‘주거보장’(7.4%),
‘고용보장’(3.6%)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 소득보장 욕구가 더욱 커지고, 의료보장에 이어 주거보장 욕구가 높게 나타나 2017년과 차이를 보이며,
- 소득보장 욕구의 증가와 고용보장 욕구의 감소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소득감소, 고용시장 위축을 고려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 2017년 : 소득보장(41.0%), 의료보장(27.6%), 고용보장(9.2%)
○ 향후 보육·교육시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27.0%가 발달재활서비스 확대를 꼽았고,
다음으로 특수교육 보조인력 증원(19.7%)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 여성장애인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는 자녀양육 지원 서비스(13.3%)를 가장 많이 원하였고,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11.3%), 출산비용 지원(10.2%), 건강관리 프로그램(10.0%)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보건복지부 박인석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드러난 장애인들의 현황과 욕구를
장애인 정책에 반영하고,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장애인과 그 가족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장애인 지원 방안 마련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라고 밝혔습니다.
등록일 : 2021-04-20
출처 : 보건복지부
▼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
▼ 또 다른 복지로를 소개합니다 ▼
'복지소식 > 복지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활동지원 수급 학생에게 학습 돌봄 특별급여 제공! (0) | 2021.05.06 |
---|---|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운 분들에게 한시 생계지원금 지급 (0) | 2021.04.27 |
장애인 학대 발견 시, 이제 문자로 신고하세요! (0) | 2021.04.14 |
청년을 위한 보건·복지분야 정책 시행계획 (0) | 2021.04.07 |
겨울철 소외된 이웃 67만 명에 건넨 따뜻한 손길 (0) | 202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