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116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신청하세요!

- 노년기 소득지원 및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 80만 개의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제공 - - 11월 23일부터 온라인 신청 또는 가까운 행정복지센터, 시니어클럽 등에서 방문 신청 가능 -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11월 23일(월)부터 12월 18일(금)까지 지방자치단체에서 2021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 참여자 모집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사업은 노년기 소득지원 및 사회참여 활성화를 위해 2004년부터 도입되었으며,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의 노인세대 진입에 따른 급속한 고령화에 대비하여 올해 74만 개에서 내년에는 80만 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번 모집 대상 사업은 공익활동과 시장형 사업단으로 만 60세 또는 만 65세 이상이라면 조건에 ..

아동학대 예방 리플릿 및 부모교육 영상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에서 '아동학대 예방의 날(11/19)'을 맞아 '안아줌 캠페인'을 진행합니다. 아동학대 예방 리플릿과 부모교육 영상 링크를 첨부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출처 : 보건복지부, 아동권리보장원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 영상 바로가기 ○ 체벌은 아이가 스스로 행동을 돌아볼 기회를 빼앗고, 폭력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 아이에 대한 비난은 자존감을 떨어뜨릴 수 있으며,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아이에 대한 사랑이 자칫 우리 아이의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 돌봄이 필요한 시기에 관심이 부족할 경우, 아이들의 인지 발달과 건강한 신체 형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일상 속에서 나도 모르게 했던 행..

코로나19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도 신청 접수!

코로나19로 소득 감소 저소득 위기가구 대상…세대주 출생년도 끝자리별 요일제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코로나19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의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을 19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한 저소득 위기가구를 지원하는 4차 추경 사업인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사업‘은 지난 12일 온라인 신청부터 시작했는데, 온라인·방문 신청은 30일까지 접수받습니다. ※ 콘텐츠 게시 이후, 마감 신청기간이 11월 6일(금)로 일주일 연장되었습니다. 이번 방문 신청은 세대주·동일세대 내 가구원·대리인(법정대리인 등)이 세대주 출생년도별로 가능한 요일에 본인 신분증을 지참 후 거주지 소재 주민센터를 방문해 신청서 및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와 소득 감소 증빙 자료를 제출하면 됩니다. 다만 ..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신청안내 포스터 및 리플릿

코로나19로 소득이 감소하여 생계가 곤란한 저소득 가구를 대상으로 긴급생계비를 지원합니다.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온라인(복지로) 신청은 '20.10.12(월) ~ 11.6(금) 18:00까지 (일주일 연장됨)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은 출생연도 구분 없이 상시 신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와 포스터, 리플릿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바로가기

보편지급 아동수당 1월 중순부터 신청하세요!

보건복지부는 소득·재산 하위 90%에 지급되던 아동수당이 ‘19년 새해부터 만 6세 미만 모든 아동으로 확대되며, 1월 중순부터 신청받기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존에 아동수당을 신청했으나 소득·재산 기준 초과로 대상에서 제외(탈락)된 아동도 법이 공포된 이후 읍면동 담당공무원이 직권으로 재신청할 예정이기 때문에, 별도 신청이 필요 없다고 하는데요! 반면, 아동수당을 한 번도 신청한 적이 없는 아동이라면 직접 신청해야 아동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동수당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www.bokjiro.go.kr)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19.1.31 기준 만 6세 미만인 ’13.2월 이후 출생아 아동수당 신청가능 ..

2019년 확대되는 보건복지 주요사업

내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이 올해보다 14.7%(9조3천594억원) 증가한 72조5천148억원으로 최종 확정됐습니다. 사회복지 분야 예산은 올해보다 15.4%(8조1천304억원) 증가했고, 보건분야 예산은 11.8%(1조2천290억원) 늘었는데요. '19년 다양한 분야에서 보건복지 증진을 위해 사용 될 예산,그 자세한 내용을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또 다른 복지로를 소개합니다 ▼ 대한민국 대표복지포털 복지로 www.bokjiro.go.kr